Features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하나의 기능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사용자가 직접 사용할 때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능이나 요소를 의미한다. 핵심이 되는 기능은 Key Features라고 칭한다.
Feasibility
디자인 및 개발의 리소스, 기간, 예산 등을 현실적으로 따져봤을 때 실제 구현 가능한지를 의미한다.
VOC(Voice Of Customers)
고객의 목소리, 고객의 의견, 피드백, 요구사항 뜻으로 서비스나 제품을 이용한 실제 고객들이 남긴 모든 반응을 의미한다.
UGC(UserGenerated Content)
사용자 생성 콘텐츠라는 뜻으로 기업이 아닌 사용자 본인이 직접 작성하고 공유하는 글, 사진, 영상, 후기 등을 의미한다. UGC는 중요한 요소로 광고보다 실제로 사용자가 만든 후기라 더 설득력이 있으며, 사용자 스스로 컨텐츠를 만들기 때문에 바이럴 효과, 유저가 직접 참여하여 브랜드 애착 상승, 어떤 부분이 만족 또는 불만족인지 유추 가능하여 UX 개선에 도움이 된다.
Fidelity
디자인 시안이나 프로토타입이 얼마나 실제 제품처럼 보이고 작동하는지를 의미한다. Low Fidelity는 매우 간단한 형태로 핵심 기능만 확인하는 용도이다. 예시로 와이어프레임. 반면 High Fidelity는 실제 제품처럼 생겨 색상, 이미지, 폰트 등 모두 반영된 상태로 실제로 클릭 가능하게 만든 프로토타입도 포함된다.
Wirfeframe
기획 단계에서 주로 사용되며, 각 페이지들의 정보와 UI 요소들에 대한 배치를 표현한다. 와이어프레임에서 시나리오와 컨텐츠, 설뎡 등이 첨부되면 스토리보드가 된다.
Storyboard
서비스의 각 페이지 구성요소나 컨텐츠의 설명 및 페이지간의 이동 흐름, 로직 등을 기술한 문서이다. 각 회사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른데 보통 화면 설계서, UI문서, 스펙문서, 기획서, MMI 등으로 불린다.
Prototype
서비스에 대한 기능 및 사용성 등의 테스트를 위해 제작된 동적인 모형이다.
Affordance
사용자에게 해당 기능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바로 떠올릴 수 있게 하는 디자인 속성이다. 예를 들면 아래 화살표 애니메이션을 보면 스크롤로 려야한다는 의도를 알 수 있다.
IA(Information Architecture)
제품, 서비스를 구성하는 정보의 구조와 우선순위, 흐름의 설계 등을 포함한다.
CTA(Call to Action)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유도하는 행위 혹은 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버튼, 링크 배너
Usability, UT(Usability Testing)
사용자가 얼마나 쉽게, 빠르게, 오류 없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준이다. 서비스가 아무리 예쁘고 기능이 많더라도 사용하기 불편하면 사용성이 나쁜 것이다.
Breadcrumbs
웹사이트나 앱에서 사용자가 지금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경로처럼 보여주는 UI이다.
IT 주니어를 위한 실전 UX 디자인, 홍석희, 클래스101
'👩🏻🎨 Web > UI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화 (0) | 2025.04.09 |
---|---|
스큐어모피즘, 플랫디자인 (0) | 2025.04.09 |
사용자의 니즈와 결핍을 충족할 것 (0) | 2025.04.08 |
게슈탈트 이론 (0) | 2025.04.03 |
명도와 채도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