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슈탈트 이론
게슈탈트 이론과 형태 심리학은 UI/UX 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시각 인지 원리이다. 사용자가 화면에서 정보를 어떻게 보고, 해석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게슈탈트 이론
게슈탈트는 형태, 형상을 뜻하는 독일어이다. 게슈탈트 이론에 따르면 사람은 전체 이미지를 각 부분들 사이의 상호 관계와 맥락 속에서 지각한다.
1. 폐쇄성의 법칙
기존의 지식을 토대로 완성되지 않은 형태를 완성된 형태로 지각한다.
위 그림은 원도 삼각형도 아니지만 우리는 친숙한 형태와 이미지를 떠올리고 보이지 않는 선을 이어 삼각형으로 인식한다. 즉, 무질서해 보이는 원과 꺽쇠들 사이에서 삼각형을 떠올리고 거기에 통일감을 느낀다.
2. 유사성의 법칙
유사한 자극 요소들을 묶어서 지각한다. 따라서 개별 요소를 보기보단 하나의 집합적인 전체나 종합으로 인식한다.
3. 근접성의 법칙
우리는 시간과 공간 차원에서 근접해 있는 요소들을 함께 묶어서 지각한다.
4. 연속성의 법칙
요소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면 요소들을 묶어서 지각한다.
5. 단순성의 법칙
특정 대상을 주어진 상황에서 최대한 가장 단순하고 간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지각한다.
위 그림은 복잡한 형태로 지각할 수 있지만 우리는 단순히 3~4개의 원이 모인 것으로 지각한다.
6. 공동 운명의 법칙
움직이는 요소들을 방향 같은 것끼리 집합적으로 묶어서 한 요인으로 지각한다.
한 퍼포먼스 공연에서 한 그룹은 왼쪽 나머지 그룹은 오른쪽으로 뛰어가는 장면을 보고 우리는 각각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묶어서 지각한다.
7. 대칭의 법칙
대칭적인 것은 균형과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며, 좋은 모양으로 지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