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
두 대 이상 연결되어 있으면 컴퓨터 네트워크가 되고, 컴퓨터 간에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인터넷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로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크워크이다.
패킷(packet)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이다.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그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많이 차지하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를 작게 나누어서 보내야한다. 이를 패킷으로 나눠 보낸다고 한다.
이때 패킷은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기 때문에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보낸다.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
컴퓨터는 숫자 0과 1만을 다루는데, 그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 데이터라고 한다.
8비트 = 1바이트
아스키(ASCI) 코드
알파벳, 기호, 숫자 등을 다룰 수 있는 기본적인 문자 코드이다.
문자 데이터도 패킷으로 나누어서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이때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트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네트워크에 전기신호가 전송되고 있다.
랜(LAN)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이다.
왠(WAN)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이다.
랜 | 왠 | |
범위 | 좁음 (건물이나 특정 지역) | 넓음 (랜과 랜 연결) |
속도 | 빠름 | 느림 |
오류 | 적음 | 많음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주체이다.
현재는 KT, U+, SK브로드밴드와 같은 ISP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DMZ(DeMiliatrized Zone)
네트워크 구성 중에서 일반적으로 인터넷인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중간 지대(서브넷)를 말한다.
네트워크의 보안 영역으로 외부 공격자가 내부 내트워크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역학을 한다.
가정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는 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인터넷 회신, 그리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공유기가 필요하다.
반면 소규모 회사에서 네트워크 구성할 때는 가정의 랜과 달리 DMZ(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서버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이다. 반대로 서버에서 보내 주는 정보 서비스를 받는 측 또는 요구하는 측의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라고 한다.
웹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를 공개한다. 웹 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하려면 웹 서버를 외부에 공개하고, 외부 사용자와 메일을 주고받으려면 메일 서버를 외부에 공개하고, 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회사의 서버에 접속하려면 DNS 서버를 외부에 공개한다.
가정에서는 서버로르 외부에 공개할 필요가 없다.
회사에서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서버를 사내에 설치하거나 데이터 센터에 두거나 클라우드(Cloud)에 둘 수 있다.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을 온프레미스(on-premise)라고 한다.
📚 미즈구치 카츠야, <모두의 네트워크>, 이승룡, 2018
'⚙️ 개발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IP, 공인IP (0) | 2024.07.16 |
---|---|
캐시 서버 (Cache Server) (0) | 202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