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

표준생성과 사용할 DB 선택필자는 MySQL를 선택 요금 방지를 위해 템플릿은 프리티어를 선택 퍼플릭 액세스 기능을 '예'를 선택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후 데이터 베이스의 인바운드 규칙을 편집할 것이다.이때 엔드포인트 복사해둘 것!!!! 위치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 프로젝트로 돌아와 MySQL를 연결한다.필자는 인텔리제이라서 Ctrl + Shift + A 클릭해서 Data Sources 검색 Host에 데이터 베이스의 엔드포인트를 넣고, 나머지는 순차적으로 입력하단의 Test Connection을 클릭하여 성공 후 OK 필자는 파일질라를 사용중으로 이걸로 배포파일을 업로드할 예정 빌드한 jar파일을 우측으로 이동 Git Bash에서 실행//파일 확인$ ls//jar파일 실행$ java ..
흐린눈하던 리눅스,,,결국 회사에서 무지식임을 들켜서 공부를 시작함,,,😂 (죄송함다 리눅스(Linux)는 운영체제(OS : Operatin System)이다.컴퓨터(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윈도우나 맥OS와 같이 리눅스도 운영체제의 한 종류로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윈도우와 달리 리눅스는 오픈소스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리눅스에는 여러 종류의 배포종류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우분투(Ubuntu)이다. 무료이고 검색할 글이 많기 때문에 AWS에서 서버를 만들 때 Ubuntu를 사용할 것이다. 쉽게 말하면 리눅스가 피자, 우분투는 피자 중에 고구마피자이다. WAS(Web Application Server)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서버로 앞으로 실행할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
지구용사
'WAS'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