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사용자 시나리오란 서비스 또는 제품이 제공할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이야기 형태로 기술한 것이다. 디자이너의 추측과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작성되지만 이러한 추측과 아이디어들을 사용자 리서치와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수집되고 분석된 자료들을 근거로 만들어져야 한다. ✔ 사용자 시나리오 구성요소사용자 : 정의한 페르소나목표 : 무엇을 성취할려고 하는가?동기 : 왜 그것을 달성하려고 하는가?외부적 요소(External Factors): 사용자는 어디에 있는가? 감정성태는 어떤가?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가? 모바일 또는 데스크탑 무엇을 이용하는가? IT 주이너를 위한 실전 UX 디자인 개론, 킹홍, 클래스101
딱! 필요한 순간에 사용자의 시선이 닿는 곳에 텍스트가 있을 때를 적시성이라 한다. UX라이터는 그 최적의 위치와 타이밍에 찾아 텍스트를 기입해야 한다. 따라서 무엇을 말할까, 무엇을 뺄까, 언제 말할까를 늘 고민해야한다. 가독성과 적시성이 좋아지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전반적으로 쾌적해지는 것도 맞지만 사용자가 어떤 정보를 찾다가 적재적소에 제공했을 때 그 일치성은 사용자에게 큰 쾌감을 준다. (생성자 천재다..!라기 보단 본인 천재다!라는...) 이 쾌감은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전환으로 이루어지고 몰입도가 오른다. 한국 기업의 UX Writing, 클래스101
개인정보 유출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노출에 주의해주세요.→ 전화번호는 지워주세요.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고객센터로 문의해주세요.→ 123-4567로 전화주세요. 아이디를 찾을 방법을 선택해주세요. 이메일로 찾기 / 문자인증으로 찾기 → 아이디를 찾을 방법을 선택해주세요. 이메일로 아이디만 찾기 / 문자인증으로 비밀번호도 찾기 사용자는 최선으 선택이 아닌 최소 조건으로 충족되는 것으로 선택한다.글 산업에서 글의 눈높이는 중학생 2학년, UX라이팅의 눈높이는 it소외계층을 고려해야 한다. A. 당신은 요즘 얼마나 행복한가요? 당신은 지난달에 데이트를 몇 번을 했나요?B. 당신은 지난달에 데이트를 몇 번 했나요? 당신은 요즘 얼마나 행복한가요?통계 결과 A그룹보다 B그룹이 더..
브랜드보이스는 서비스가 정하는게 아니라 사용자가 느끼는 것이다. UX 작성자가 사용자가 느껴야하는 느낌을 정해서 배포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직접 경험을 통해 느껴야 한다. 대표적 예시로 토스는 사용자들의 기분 좋은 순간을 기록하는 '해피 모먼트' 캠페인을 진행했고, 배달의 민족에서는 작명하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뜻밖의 감흥을 줄 때 사용자에게 더 각인을 줄 수 있다. 예를들면 보편적인 상담 채팅채널에서 마지막에 '추가 문의 사항은 없으신가요?'라고 한다면, '상담이 목소리가 아닌 문자로만 진행되어 다소 딱딱하게 전달되지는 않았을지 걱정됩니다' 와 같이 예상을 비켜간 한마디가 사용자에게 큰 감흥을 주고 서비스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 수 있다. 종결어미로 합쇼체, 해요체로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서비..
사용자에게 좋은 읽기 경험이 되는 글쓰기로 사용자가 생각 없이 봐도 즉시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느낌 기반이 아닌 사용자에 의한 정확한 근거를 기반으로 좋은 문자에 대해 논리적인 이유를 제시하여 협업한다.
골든 서클은 사이먼 시넥이 테드에서 강의한 내용에서 나온 모델로 위대한 리더들이 행동을 이끌어내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며 why로 시작하여 간단하지만 강력한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p0HIF3SfI4
지구용사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