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State란 컴포넌트 안에서 상태 값을 선언하고, 그 값을 변경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이다.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0); // 0으로 설정
return (
<>
<div>
<h1>{state}</h1>
<button onClick={() => {
setState(state + 1);
}}>+</button>
</div>
</>
);
}
export default App
상태를 직접 바꾸면 안 되고 반드시 setLight() 같은 상태 업데이트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상태가 바뀌면 자동으로 컴포넌트가 랜더링된다.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light, setLight] = useState("OFF");
return (
<>
<div>
<h1>{light}</h1>
<button onClick={() => {
setLight(light === "ON" ? "OFF" : "ON")
}}>
{light === "ON" ? "끄기" : "켜기"}
</button>
</div>
</>
);
}
export default App
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리액트
'💻 Front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X (JavaScript Extensions) (0) | 2025.06.24 |
---|---|
React 구동 순서 (0) | 2025.06.24 |
React App 생성 (0) | 2025.06.24 |
리액트가 빠른 이유 (0)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