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ols/Network

IP주소란 일종의 컴퓨터 네트워크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전세계 컴퓨터가 각자 고유한 IP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할당된 IP주소는 대부분 IPv4형태이다. 32비투로 처리되는 주소가 부족하면서 128비트로 처리되는 IPv6가 나오고 있다. cmd > 'ipconfig/all' 검색하면 각종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IPv4주소는 사설ip주소이다. 네이버 또는 구글 > '내 ip주소 확인' 검색하면 공인IP이다. 공유기나 내부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경우 사설IP라고 하는 특정 주소를 사용한다. 192로 시작하며 내부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네이버 검색을 통해 확인한 IP주소는 외부적으로 사용되는 IP주소이다.
서버는 많은 리소스들을 저장하고 있다. 이중에는 큰 파일을 자주 요청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여러번 같은 파일을 요청할 경우 서버는 과부하 상태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서 서버-클라이언트 서비스 간에 캐시(Cashec)를 둬서 리소스에 대한 좀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 네트워크 두 대 이상 연결되어 있으면 컴퓨터 네트워크가 되고, 컴퓨터 간에 필요한 데이터(정보)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인터넷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로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크워크이다. 패킷(packet)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이다.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그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많이 차지하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를 작게 나누어서 보내야한다. 이를 패킷으로 나눠 보낸다고 한다. 이때 패킷은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기 때문에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보낸다.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 컴퓨터는 숫자 0과 1만을 다루는데, 그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 데이터..
지구용사
'⚙️ Tools/Network'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