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화
시스템이 정보, 기능, 컨텐츠 등을 사용자의 니즈와 기대에 따라 실시간으로 추천해주는 상황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넷플릭스, 유튜브 등이 있다. 넷플릭스에서 국내 멜로드라마만 시청했다면 앞으로 넷플릭스는 자동으로 국내 멜로 드라마만 보여줄 것이다. 이와 같이 여러 기업들은 고객의 니즈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제공화를 왜 제공할까?
사용자들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커스터마이징을 제공받을 때 편리함을 느낀다. 더 나아가 애플리케이션과의 유대감을 느껴 해당 브랜드에 대한 충성을 이끌어낸다.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더 오래 머물도록 하고, 더 많은 서비스를 소비하게 만들기 위해서다.
과도한 개인화
개인화된 경험은 굉장히 편리하다. 그치만 늘 취향에 맞는 것을 추천해주기에 다른 취향 또는 관점을 새로 탐색하기 어렵다. 아까 넷플릭스 예시에 추가하면 필자는 국내 멜로드라마만 추천받다보면 해외드라마에는 더 문외할 것이다. 해외드라마를 시청하고 싶어도 국내 드라마만 추천해주기 때문에 접근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와같이 새로운 취향을 가질 기회는 사라지게 된다.
균형 잡힌 개인화 경험 제공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새로운 관점을 가질 기회도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UX
이커머스에서 개인화 추천 UX는 사용자가 여러 페이지를 거치지 않아도 즉각적으로 그리고 편하게 구메까지 이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관점은 고객이 귀찮다고 생각이 들지 않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상품 상세, 장바구니, 구매 모든 페이지에서 심도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 Web > UI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lden Circle (0) | 2025.04.16 |
---|---|
5 whys (0) | 2025.04.16 |
스큐어모피즘, 플랫디자인 (0) | 2025.04.09 |
실무에서 쓰이는 용어 (0) | 2025.04.08 |
사용자의 니즈와 결핍을 충족할 것 (0) | 2025.04.08 |